시민의 힘으로 구미를 바꿉시다!

구미참여연대의 회원이 되시면 구미와 세상이 바뀝니다!

구미참여연대 회원 되기

함께 꾸는 꿈

혼자 꾸면 꿈이지만 함께 꾸면 현실이 됩니다!

시민의 힘으로만 운영됩니다!

구미참여연대는 정부로부터 어떤 재정지원도 받지 않습니다.

구미 비정규직 노동자 실태 첫 조사..평균연봉 2천944만원

박순기 입력 2020.08.21. 15:47

 

고용불안·임금불만 등 쏟아져..일자리 기금·무료법률 지원 등 필요

 

(구미=연합뉴스) 박순기 기자 = 경북 구미지역 비정규직 노동자 평균 연봉은 2천944만원으로 조사됐다. 21일 구미시와 시민단체 구미노동인권네트워크에 따르면 최근 제조업·서비스업 비정규직 노동자 416명의 임금·근무실태를 조사한 결과 평균 연봉은 2천944만2천원으로 나타났다. 금액별로 2천400만∼3천600만원( 61.3%)이 가장 많았고, 3천600만원 이상(24.2%), 1천500만∼2천400만원(11.3%), 1천500만원 미만(3.2%) 순이다. 응답자 중 52.2%는 현재 임금에 만족하지 않는다고 했다.

 

현재 직장 고용이 안정적이냐는 질문에 67.5%가 그렇지 않다고 대답했다. 근무 중 다칠 걱정이 있냐는 질문에는 36%가 그렇다고 답변했다. 가장 큰 걱정·불만 사항(복수 응답)은 일자리 불안 80.6%, 노후 준비 52.1%, 생계 곤란 38%, 여가·문화 활동 부족 16.9%, 결혼·출산 5.6%, 주거 불안 4.6% 순으로 조사됐다. 응답자의 90.6%는 직무가 상시적인 업무(연간 9개월 이상)라고, 47.6%는 정규직과 유사한 업무를 하고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 중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은 경우는 15.6%이고, 근로계약서를 받지 않은 경우도 26.8%에 달했다.

 

다운로드.jpg

 

고용 형태는 기간제가 52.6%로 가장 많고, 용역 14.4%, 도급 13.2%, 기타 10.6%, 파견 9.1% 순이다. 근로계약서상 주 평균 노동시간은 41.4시간이지만 실제 노동시간은 주 44.9시간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응답자 중 14.9%는 4대 보험에 가입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비정규직 삶의 개선을 위한 사회적 지원으로 일자리 안정기금 조성, 노동 관련 무료법률 지원, 노조 필요성, 무료건강검진 지원, 공공임대아파트 확대 등을 희망했다. 최인혁 구미노동인권네트워크 집행위원장은 "취약계층 노동자의 힘든 현실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조례 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parksk@yna.co.kr

39 “구자근 의원 기소하라”…검찰, 15일 전까지 결정
38 구미지역 시민·사회단체, 검찰은 구자근 국회의원 기소 해야
37 구미 시민단체들, 박정희 관련 사업 앞에 고개 숙인 구미시·의회는 반성해야
36 구미 시민단체 "취수원 논의 앞서 낙동강 오염방지책"
35 취수원 이전 관련 보도
» 구미 비정규직 노동자 실태 첫 조사..평균연봉 2천944만원
33 구미참여연대 "수의계약 특혜 의혹 김태근 시의장 사퇴하라"
32 새마을공원 연간 운영비 60억
31 "200억 박정희 유물관? 도지사 하려고 혈세 쓰나" +1
30 [Talk쏘는 정치] 박정희 역사관에 '200억'…구미시장 논란
29 구미시장, '박정희 사업'에 200억…시민들 '냉랭'
28 “박정희 역사자료관 건립 취소하라”···구미 시민단체 촉구
27 구미참여연대 "박정희 유물전시관 건립 취소"
26 감사원 ;구미시-한국노총 구판장위탁계약 취소해야
25 구미 고교평준화 놓고 시민단체 경북교육청 충돌
24 구미 시민단체들, "박정희 기념우표 발행 취소 환영
23 박정희 우표 찍으라고 1인시위 구미시장님, 남사스럽습니다
22 [단독]우본 '박정희 우표' 발행 원점에서 재검토
21 뜨거운 감자 ‘새마을’… 구미시, 시민단체와 갈등 심화
20 기어코 박정희 우표 발행할 모양입니다

LOGIN

SEARCH

MENU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