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의 힘으로 구미를 바꿉시다!

구미참여연대의 회원이 되시면 구미와 세상이 바뀝니다!

구미참여연대 회원 되기

함께 꾸는 꿈

혼자 꾸면 꿈이지만 함께 꾸면 현실이 됩니다!

시민의 힘으로만 운영됩니다!

구미참여연대는 정부로부터 어떤 재정지원도 받지 않습니다.

보도일 2016-09-27 

http://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203851

 

[단독] '박정희 100돌 파티' 대기업들 속앓이 까닭

박정희재단, '위기의 회장님' 대상 후원 요구 의혹…100억대 모금 목표설

 

[제1272호] 2016.09.27 14:25

 

[일요신문] 박정희대통령기념사업회(박정희사업회)의 후신인 박정희대통령기념재단(박정희재단)이 대기업들에 서신 등을 통해 ‘행사 후원’을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구미참여연대 등 지역 시민단체에 따르면 2017년 ‘박정희 탄생 100돌 기념사업’을 준비 중인 박정희재단은 지난해부터 청와대 및 지방자치단체와 사업에 대해 협의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복수의 시민단체 관계자는 관공서 공문 내용 등을 인용해 "박정희재단이 100억 원대 모금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박정희재단 측은 “구체적인 목표 금액은 없다”고 부인했다. 재계는 현 정부와 직간접적으로 관계가 있는 몇몇 재단의 잇단 후원 요구에 부담을 느끼면서도 사실 여부를 함구하는 상황이다.

 

 

1474594026802717.jpg

 



< 일요신문>이 입수한 박정희재단 명의의 편지를 보면 박정희재단은 내년 11월 14일(박정희 전 대통령 생일)을 맞아 ▲특별기획 전시회 ▲학술대회 ▲기념음악회 등 ‘박정희 탄생 100돌 기념 기념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편지의 발신인은 좌승희 박정희대통령기념재단 이사장, 수신인은 대기업 A 사 오너로 파악된다. 편지에서 좌 이사장은 “우리 사회에 존경과 신망을 받고 있는 회장님을 추진위원으로 모시고자 하오니 부디 수락해 달라”고 요청했다. A 사 측은 “편지 수신 여부를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같은 내용의 편지는 대기업 B 사에도 전달됐다. B 사 관계자는 “편지를 받은 게 맞고 회장님이 추진위원 수락 여부를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대기업 C 사 관계자 역시 “올 초 재단으로부터 (후원) 제안을 받았으나 현재는 논의가 중단된 상태”라고 전했다.

대기업 관계자 중에는 "민감한 이슈라 언급이 적절치 않다고 판단되며 확인해주기 힘들다"고 답하는 사람이 적지 않았다. 매일 수십 수백 건의 후원 요구가 들어오는데 일일이 확인해 줄 수 없다는 것이다. 재계 관계자는 “(이번 건의 경우) 행사 시기가 급박하지 않아 우선 편지를 보낸 것으로 보이는데 실제 후원이 성사되려면 오너 등 ‘상위 레벨’ 간의 전화 통화, 미팅이 필수적”이라며 “또 우리만 후원하는 것은 아닌지, 다른 대기업은 어느 정도 수준으로 후원하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정희재단은 2013년 6월 21일 박정희사업회를 해산하고 설립한 재단법인이다.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초대 이사장을 맡았으며, 2013년 8월~2016년 2월 손병두 전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부회장이 이사장을 지냈다. 현 좌승희 이사장은 전경련 산하 한국경제연구원 원장을 역임한 경제학자다. 이밖에 김성호 전 국가정보원장, 류석춘 연세대 교수, 이정무 한국물포럼 총재, 조갑제 조갑제닷컴 대표 등이 이사직을 맡았고, 지난 3월에는 조우석 KBS 이사, 정규재 한국경제신문 주필이 신임 이사에 위촉됐다. 박근혜 대통령은 2003~2013년 재단의 전신인 박정희사업회의 등기이사(부회장)를 역임했다. 

앞서 김경협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은 박정희재단의 15억 원대 기부금과 관련한 대기업 모집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김경협 의원실에 따르면 박정희재단은 2013년 10월 기획재정부로부터 정식 기부금단체로 지정된 뒤 불과 두 달여 만에 15억여 원을 모금했다. 그런데 다음해인 2014년 한 해 동안 박정희재단의 총 모금액은 9300만여 원에 불과했다. 김경협 의원실 측은 “당시 15억 원대 자금 모집 과정에 손병두 전 부회장의 재계 인맥과 김기춘 전 실장의 권력이 작용했다는 의심이 들었다”고 설명했다. 박정희재단 측은 후원자가 원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당시 기부자 명단을 공개하지 않았다. 

 

지난 3월 박정희재단이 국세청에 신고한 2015년 기부금 총액은 5억 9000여만 원. ‘박정희 100주년 사업’을 준비하기에는 빠듯한 액수라는 것이 재단 안팎의 설명이다. 구미참여연대 관계자는 “재단 사정은 알 수 없으나 경상북도 등 기념사업을 준비 중인 지자체가 총 투입 예산을 100억 원대로 검토해 논란이 됐다”라며 “남은 예산은 재단이 마련하고 기념사업 준비에 필요한 일부 인력은 정부가 파견하는 방안이 현재 논의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박정희재단이 대기업들에 편지를 발송한 시점은 지난 2월 이후로 파악된다. 기업마다 수신 시점은 각각 다른 것으로 전해진다. 제안을 받은 기업 가운데는 사정기관의 내사 대상으로 거론되거나 오너 등 주요 경영진의 사면 문제가 걸려 있던 기업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 사정에 밝은 한 인사는 “박정희재단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A 사는 추진위원 제안을 승낙하려다가 관례상 10억 원 정도를 내야 해 고민이 많았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인사는 “청년희망펀드부터 미르·케이스포츠재단까지 대기업들이 정권에 낸 기부금이 한둘이 아니다”라며 “평창동계올림픽의 경우도 후원금은 물론 사후 경기장 운영까지 요구해 기업들의 고민이 컸다”고 말했다. 

박정희재단 측은 “추진위원회에 합류해 달라는 것이지 기부금을 받을 목적은 절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박정희재단 홍보실장은 “재계뿐 아니라 정계·학계 등 사회 각계각층의 인사에게 편지를 보냈고, 현직 대통령에게까지 보냈다”라며 “외압 행사는 결코 없었고, 십시일반 돈을 모아 행사를 치르자는 것이 우리의 생각인데 최근 미르재단 등과 관련한 의혹이 불거져 오해가 생긴 것 같다”고 말했다. 


또 그는 “아직 추진위원회가 구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예산안도 나오지 않았다”며 “(대기업 회장의) 금전적 지원은 바란 적도 없으며 우리가 편지를 보낸 분들 가운데 일부는 수락하고, 일부는 거절했다"고 덧붙였다.

박정희재단의 박정희 탄생 100돌 기념사업 추진위원회는 오는 11월 결성될 예정이다.  

강현석 기자 angeli@ilyo.co.kr

39 감사원 ;구미시-한국노총 구판장위탁계약 취소해야
38 구미 비정규직 노동자 실태 첫 조사..평균연봉 2천944만원
37 “구자근 의원 기소하라”…검찰, 15일 전까지 결정
36 구미참여연대 "수의계약 특혜 의혹 김태근 시의장 사퇴하라"
35 구미지역 시민·사회단체, 검찰은 구자근 국회의원 기소 해야
34 취수원 이전 관련 보도
33 구미 시민단체 "취수원 논의 앞서 낙동강 오염방지책"
32 구미 시민단체들, 박정희 관련 사업 앞에 고개 숙인 구미시·의회는 반성해야
31 "200억 박정희 유물관? 도지사 하려고 혈세 쓰나" +1
30 새마을공원 연간 운영비 60억
29 [Talk쏘는 정치] 박정희 역사관에 '200억'…구미시장 논란
28 구미시장, '박정희 사업'에 200억…시민들 '냉랭'
27 구미 고교평준화 놓고 시민단체 경북교육청 충돌
26 박정희 우표 찍으라고 1인시위 구미시장님, 남사스럽습니다
25 구미시, 한노총에 3층 건물 20년간 무상 임대
24 구미 시민단체들, "박정희 기념우표 발행 취소 환영
23 구미시 한국노총에 건물 무상임대
22 기어코 박정희 우표 발행할 모양입니다
21 “박정희 역사자료관 건립 취소하라”···구미 시민단체 촉구
» [단독] '박정희 100돌 파티' 대기업들 속앓이 까닭

LOGIN

SEARCH

MENU NAVIGATION